만덕산 정상 깃대봉을 찍고 백련사, 다산초당으로의 걷기는 계속되는데...
백련사
위 치 : 전남 강진군 도암면 만덕리 246번지
개 요 : 839년 신라 문성왕 때 무주 무염이 창건했다. 그 뒤 고려 희종 7년 원묘국사 요세에 의해 건물 80여칸이 중창되었다.
고려 후기 120년 동안 고려의 여덟 국사를 배출했다. 이 절은 천태사상에 입각한 결사도량을 개설하여 침체된 불교의
중흥을 꾀하는데 중심 역할을 했다.
고려 고종19년에 백련 결사문을 발표하여 참회와 정토를 강조한 백련결사 운동은 송광사의 정혜결사운동과 함께 고려 후기
불교의 양대 산맥을 이룬다. <동국여지승람>에서는 이 절을 가리켜 "남쪽 바다에 임해 있고 골짜기 가득히 송백이 울창하며
동백 또한 곁들여서 창취가 사계절을 통해 한결 같은 절경"이라고 할 만큼 주위의 경관 또한 아름답다.
특히 백련사는 인근 다산초당과 산 고갯길을 두고 연결되어 있어 다산초당도 같이 방문하면 더 욱 좋다.
백련사 내부에는 목조 삼존불이 봉안되어 있는데 조선후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 하고 있다. 이 삼존불은 중앙 본존불이
석가여래이기 때문에 당연히 좌우의 불상은 보살상이 배치 되어야 하는데도 여래상을 안치한 점이 특이하다.
여행정보 :
다산초당으로 이어지는 2.5km의 오솔길은 꼭 30여분 정도 부담없는 트레킹 코스이다.
또한 3000여 평의 산비탈에는 수령 3~400년이 넘는 동백나무 1500여 그루가 있어, 3월 말이 되면 화려한 동백 천하를 만날 수 있다.
백련사에는 선다원이라는 찻집이 있어 여유롭게 차 한잔 할 수 있다.
백련사와 다산초당, 다산 유물 전시관은 숲길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그런데 백련사와 다산초당의 출입로가 다르기 때문에 차를 주차하고 만덕산
숲길을 이용하여 다산초당 입구로 이동하는 것이 수월하다. 답사 순서를 정할 때 세 곳 중 주차하기 가장 편리한 백련사를 먼저 관람한 후 차량으로
다산 유물 전시관으로 이도하고 숲길을 따라 다산초당을 관람하는 것도 괜찮다
백련사 경내에 아름답게 핀 빠~~ 알~~ 간 동백꽃이...
동백과 백련사...
백련사에서 내려다본 강진만..
대웅보전
천연기념물 제151호로 지정된 만덕산 백련사의 동백나무숲
수령이 3-400년된 오랜 고목에 울퉁불퉁한 우거진 동백나무숲이...
동백나무숲을 지나 정다산유적지로 향하는 오르막에 나무계단 숲속길
다산초당으로 향하는 대나무 숲속길...
정다산 유적지에 대한 설명...
천일각(天一閣) - 다산 선생이 유배될 당시 흑산도에 유배된 둘째형 정 약전(丁若銓)과 가족이 그리울 때 형과 가족을 생각하며 이곳 잔등에서 저 멀리
강진만을 바라보며 마음을 달랬던 곳으로 당초에는 건물이 없었으나 선생의 마음을 되살리기 위해 1975년 강진군에서 건립하였다.
동 암(東庵) - 다산 선생이 유배상활중 초막(草幕)을 짓고 거처하셨던 곳으며 목민심서(牧民心書), 흠흠신서(欽欽新書),경세유표(經世遺表)등 500여권의
책을 저술하시어 우리나라의 실학(實學)을 집대성한 곳이다. 일명 송풍암(松風庵)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동암근처에 소나무들이 무성하여 솔바람이 불어오는
암자라 하여 불리우게 되었다고 한다.
허물어져 없어진것을 1976년에 강진군에서 복원한 건물이다. 다산동암(茶山東庵)이란 현판은 다산 정약용 선생의 친필이며 보정산방(寶丁山房)이란 현판은
추사 선생의 글씨를 모각(模刻)한 것이다.
- 다산초당 -
다 조(茶竈) - 예부터 있던 돌로 부뚜막으로 삼아 청동의 화로에 약천의 물을 붓고 솔방울로 불을지펴 차를 끓여 마셨던 반석(盤石)으로 저술로
침침해진 눈과 피로한 몸을 돌보던 곳.
정 석(丁石) - 자연석에다 다산선생께서 친필을 써서 새긴 것이며, 나라를 위한 마음을 담기위해 새겼다고 함.
이 오솔길은 다산 정약용 선생께서 1808년 봄부터 1818년 8월 해배시까지 다니셨던 길로 다산의 체취가 물씬 풍겨있기에 당시 모습을 그대로 보존하고 있다.
오솔길을 따라 내려오면 다산 유물전시관이 눈앞에.. 그 뒤로 만덕산에 모습
다산유물전시관 광장에서 기념사진 하나~~~~
전시관앞 뜰어 동백꽃
들꽃 찾집에 쌓아놓은 항아리 탐탑
도암면 다산전시관 앞 동네에 핀 매화꽃
맑고 고운 봄날 강진 만덕산 깃대봉에 올라 아름다운 강진만을 내려보고 봄을 만끽하며.. 백련사의 동백숲을 따라 정약용선생에 체취가 물씬 풍겨나오는
다산유적지의 역사를 느끼고 봄에꽃 진달래,동백꽃, 매화와 함께 그리 널리 알려지지 않은 만덕산의 아름다운 산행은 여기까지....
'지역별 아름다운산 > 전라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이산(2) - 벗꽃은 어디에 숨었는지... (0) | 2008.04.10 |
---|---|
마이산(1) - 광대봉 (0) | 2008.04.10 |
만덕산 - 맑고 고운 봄날 (0) | 2008.03.17 |
덕유산 - 내리는 눈과함께...(2008.1.12) (0) | 2008.01.13 |
대둔산 - 맑고 고운 가을날에(2007.11.14.) (0) | 2007.11.18 |